마케터의 파이썬 (5)
좋은 지표란?
전후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주는 지표
행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Actionable 지표
현재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되고, 의사결정의 근거를 제공하는 지표
업계별로, 서비스 모델별로 실무자들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KPI 핵심성과지표들이 있다.
세부적으로는 개별 서비스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해서 핵심 지표를 정의해야 하지만, 업계에 통용되는 보편적인 기준을 참고하면 도움이 됨
내가 속한 도메인 바깥에선 어떤 지표를 중요하게 바라보는지 아는 것은 데이터 사고력을 기르고 비즈니스 관점을 확장하기 위해 중요하다.
비즈니스(돈)에 대한 지표
손익계산서 : 기업의 수익과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기업의 경영 성과를 보여줌.
총거래액 (GMV)
-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발생한 총 판매 금액
- 회사가 최종적으로 가져가는 매출과는 다르며, 거래를 통해 발생한 전체 금액을 의미
평균 거래액 Average Order Value
- 총 거래액을 대상별, 기간별로 산출한 것
- 예 : 활성 사용자당 평균거래액, 월별 평균 거래액
매출액
- 기업이 비즈니스 활동을 통해 얻은 총수입
- 회사가 최종적으로 가져가는 금액
- 영업이익을 계산할 때, 매출액에서부터 손익계산을 시작
매출원가
- 제품을 만들거나 소싱하는 데 들어간 생산원가 또는 구매 비용을 의미함
- 직접 생산하지 않고 소싱하여 판매하는 경우, 상품을 구입한 비용이 매출원가로 간주됨
손익분기점
- 총 수익과 총 비용이 일치하는 지점
- '손익 분기점을 넘었다' : 순손실 구간을 지나 순이익이 나는 지점으로 진입했다는 의미
전년 대비 증감률 Year on Year Growth, YoY
- 지난해와 올해의 지표 증감률
- 예 : 지난해 총매출 1억, 올해 총매출액 1.1억 -> 증감률 10%
전분기 대비 증감률 Quarter on Quarter Growth, QoQ
- 지난 해 동일 분기 대비 올해 지표의 증감률
+
# 월차로 집계하기 (groupby 사용)
mau_payment = dau_install_payment.groupby(['log_month', 'user_id', 'install_month'], as_index = False)['payment'].sum()
np.where(조건문, True에 부여할 값, False에 부여할 값)
# 신규 유저와 기존 유저 식별
mau_payment['user_type'] = np.where(mau_payment["install_month"] == mau_payment["log_month"], "new", "existing")